공공도서관
선택한 기관 검색 선택해제
작은도서관
통합검색 상세검색 다국어 입력기

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KDC : 811.7
내 따스한 유령들 : 김선우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EM0000141364 [화천어린이]
일반811.7-김53내
대출가능 - 예약불가

상세정보

“먼지 한점인 내가 먼지 한점인 당신을 위해 기꺼이 텅 비는 순간” 작은 것들을 위한 공동체를 꿈꾸는 김선우 신작 시집 병든 세계를 정화하는 사랑의 온기로 충만한 시편들 현대문학상, 천상병시문학상 등을 수상한 시인이자 통찰력 있는 소설가이기도 한 김선우가 등단 25주년을 맞아 여섯번째 시집 『내 따스한 유령들』을 출간했다. 제5회 발견문학상 수상작 『녹턴』 이후 5년 만에 펴내는 이번 시집에서 시인은 세심한 통찰력으로 “세상의 변화를 오래 관찰한 사람의 깊이 있고 여유로운 시선”(송종원, 해설)이 담긴 시 세계를 펼친다. 생명에 대한 예민한 관찰, 사회 현실에 대한 적극적 발언, 환경 파괴에 대한 직설적 반성, 자본을 향한 가열한 비판, 사랑과 연대에 관한 성찰 등 다채로운 감각과 깊이 있는 시적 사유가 빛나는 시편들이 묵직한 울림을 자아낸다. 특히 오늘날 팬데믹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의 삶이 변해야 한다는 강한 기원과 열망이 응축된 시편들은 익숙한 삶의 풍경 속에서 뜻밖의 깊이를 이끌어내면서 ‘지금 여기’의 삶을 진지하게 돌아보게 하는 56편의 시를 묶었다. 김선우의 시는 따뜻하다. 슬픔 속에서도 희망을 북돋는 사랑의 온기가 흐른다. 시인은 세상의 모든 존재들을 사랑할 수 있는 “영혼의 강인함”(「무신론자의 기도」)을 간구하며 참혹한 세상에서 그들을 위해 울어주고 시를 쓴다. 시인은 머뭇거림 없이 즐거이 수평적 연대의 삶을 지향하면서 뭇 생명과 공존하는 삶의 길로 나아간다. “우리 모두 시인인 세상”(「시인과의 대화」), 새로운 세계로의 전환을 기원하는 이 자리에서 시인은 “모두가 떠난 뒤에도 떠날 수 없어/남은 야윈 울음 곁에서/마지막으로 함께 울어주는 사람”(「다시 광장에서는」)이다. 생명의 존엄성을 회복하고 생태계를 되살리려는 마음이 절실히 녹아든 이번 시집에서 시인은 ‘공멸’의 막다른 골목에 이른 현세계를 바꾸려는 열망을 드러낸다. 전염병과 기후위기로 인해 불타는 지구의 처절한 모습을 적실하게 그려낸 연작시 「마스크에 쓴 시」는 전지구적 위기의 팬데믹 시대를 바라보는 예리한 통찰이 돌올하다. 시인은 지금 여기서 자본의 무한질주를 멈추지 않으면 “지금보다 더 혹독한 전염병의 시대”가 “곧 다시 온다”(「마스크에 쓴 시 7」)고 경고한다. “이대로라면 백년 안에/인류는 끝날” 것이고 “이대로는 공멸”(「지구주민평의회가 만들어진다면」)이라는 시인의 예견이 서늘하게 와 닿는다. 시인은 “다른 존재들을 멸종시키면서 스스로 멸종위기종이 되어가는 우리”(「마스크에 쓴 시 12」)의 현실을 겸허하게 되돌아보고 “어떤 일을 더 하거나 덜 하며 살아야 할지”(「사랑하여 쓰게 된 가계부」) 고민하면서, 자본에 물든 인간의 탐욕으로 인해 병든 세계를 정화하고자 한다. 1996년 『창작과비평』으로 등단한 지 25년, 시력 사반세기에 이르는 동안 시인은 ‘일상의 혁명’을 실천하는 문학인으로서 촛불 집회, 용산 참사, 희망버스, 강정마을, 세월호 등 시대의 아픔에 적극 동참해왔다. 시인은 이제 “인간이 만든 세상의 참혹함” 속에서도 활짝 꽃 피는 “작고 여리고 홀연한 아름다움들”과 “고통에 연대하는 간곡한 마음들”(시인의 말)을 고스란히 심장으로 옮겨놓는다. 전작 시집에서 “모든 시는 진혼가이자 사랑의 노래”라고 말했던 시인은 이제 “시로 눈물과 기쁨과 위로와 아름다움이 되는 자리를 돌보는 일은 시인의 소중한 책무”라고 이야기한다. 고통과 절망과 분노가 쌓여가는 비참한 현실을 직시하며 “살아 있는 동안 쓰는 일을 계속할 뿐”(「하나의 환상처럼 quasi una fantasia」)인 시인의 ‘무한한 혁명’은 ‘지금 여기서 이렇게’ 계속될 것이다.